React 환경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보일러 플레이트인 create react app
를 사용하면 쉽게 환경을 찍어낼 수 있을지는 몰라도 원초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하면 트러블 슈팅의 어려움, 불필요한 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오버헤드 유발 등 다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CRA를 직접 만들기 위해 필요한 의존성은 어떤 것이 있을까?
· 
React 환경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보일러 플레이트인 create react app
를 사용하면 쉽게 환경을 찍어낼 수 있을지는 몰라도 원초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하면 트러블 슈팅의 어려움, 불필요한 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오버헤드 유발 등 다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문득 Git으로 모든 개발 환경을 통합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내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zsh
에 oh my zsh
를 적용하고 Powerlevel10k
를 이용해 Terminal
을 이쁘게 꾸며보겠습니다. 또한,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생산성까지 강화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ntelliJ로 개인 repos는 문제가 없는데 Organizations repos push가 계속 failed해서 토큰을 발급받아 해결해보려고 합니다.
GitHub 프로필에 주로 언제 코딩을 하는지 나타내면 어떨까요? 밤에 주로 활동하는 올빼미형 인간인지 아침형 인간인지 유추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commit 일자를 기준으로 GitHub 프로필에 나의 Daliy 코딩 시간을 표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글은 Mysql과 같은 RDBMS를 배우고 오신 분이 실수도 있고 처음으로 DB를 접근하시는 분 이 실수도 있습니다. 초보자 시점과 Mysql과 다른 점을 집중적으로 적었으니 꼭 글을 끝까지 읽어보신 후 실습 부탁드립니다 😁
연결정보는 결국 텍스트 혹은 숫자의 형태로 되어있을 텐데 .json
, Object
등 사용하지 않고 왜 굳이 .env
를 사용해 관리하는 걸까?
CI/CD
가 무엇인지 아는데 불구하고 JSP
를 이용해 제작된 웹 애플리케이션 제품을 만들면서 수동으로 배포하는 것에 대해 아쉬움을 느낄 때가 많았다. 그동안 개발부터 배포까지 Full Workload를 자동화 해보고 싶었는데 이번 기회에 제작을 시도해보려고 한다.